조직 내부의 문제점에 대해 내부임직원과 이해관계자가 신분노출에 대한 부담 없이 안심하고 신고할 수 있는 시스템을 제공
부정행위에 대한 적발 뿐 아니라 예방적 효과도 뛰어나 윤리경영을 위한 필수적 인프라
방화벽, 침입방지시스템, 암호화 기술을 적용하여 보안성이 뛰어나며 사용자의 익명성이 철저히 보장
부패위험성 진단은 2011년부터 국민권익위원회의 권고로 전국 공공기관에서 실시하고 있는 공공기관청렴도 평가의 한 지표임
조직(기관), 직위, 고위공직자 개인에 대한 3차원적 평가를 통해 부패에 노출될 가능성이 얼마나 높은지를 체계적으로 진단
청렴도 평가는 업무처리 투명성과 금품, 향응제공 등 부패 직·간접 경험과 인식 등에 대한 ‘외부청렴도’ 설문조사와 조직문화, 부패방지제도, 인사, 예산집행, 업무지시 공정성을 조사하는 ‘내부청렴도’로 나누어 평가
사내 성희롱, 부당업무지시, 직장 내 갑질 등 다양한 윤리이슈에 대해 내부 실태와 인식을 파악하여 개선방안 마련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기 위한 설문 조사
상급자·동료·하급자 등이 평가에 참여하는 평가를 통해 평가대상자의 직무능력과 성과, 역량수준을 객관적이고 공정하게 파악하기 위한 평가